작명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이 있습니다. 수리오행, 자원오행, 발음오행, 발음음양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작명할 때 주의해야 할 점과 이름에 쓰는 한자 등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작명 및 이름풀이 사이트도 알려드릴테니 꼭 읽어보세요!
여아이름 추천 순위
인기있고 예쁜 여아이름 추천 순위 정리 해드릴게요!
- 서아
- 이서
- 아윤
- 아린
- 서윤
- 지유
- 하윤
- 지안
- 지아
- 하린
- 채이
- 예준
- 이나
- 유안
- 유주
남아이름 추천 순위
- 하준
- 은우
- 유준
- 서준
- 도현
- 수호
- 지호
- 이준
- 예준
- 준우
- 우주
- 도윤
- 은호
- 이현
- 선우
정확한 작명 & 이름풀이 사이트 추천 해드릴게요!
작명 – 아기이름짓기, 셀프작명 & 작명사이트 ◀ 보기
이름에 쓰면 안되는 한자 – 불용한자
ㄱ
갑(甲) : 관재구설과 질병이 따르며 고생한다.
경(慶) : 허례허식이 많고 배우자복이 약하다.
광(光) : 부모 형제 덕이 부족하고 배우자 복도 약하다.
구(九) : 숫자 9는 종말을 의미해 흉하다.
국(菊) : 고독하며 성사가 어렵다.
귀(貴) : 변덕이 심해 재산 손실이 따른다.
금(琴) : 구설과 파산 등 액운이 많다.
극(極) : 부모 덕이 없고 가난해진다.
길(吉) : 부모 덕이 부족하고 일이 지연된다.
ㄴ
남(男) : 배우자 덕이 없고 가정불화가 잦다.
남(南) : 허영심 많고 배우자 복이 박하다.
녀(女) : 천하고 고독하며 부모 형제 덕이 없다.
ㄷ
덕(德) : 부모 형제 덕이 부족하고 여성은 부부 불화가 생긴다.
동(冬) : 관재, 구설, 파직 등 불운이 따른다.
돌(乭) : 천한 느낌을 주며 단명의 암시가 있다.
대(大) : 동생이 쓰면 형을 극하는 의미가 있다.
도(桃) : 배신을 당하고 배우자 덕이 부족하다.
ㄹ
란(蘭) : 변덕 심하고 배우자 복이 없다.
룡(龍) : 허상을 쫓으며 허망한 일이 많다.
료(了) : 끝내는 뜻으로 종말을 의미한다.
ㅁ
마(馬) : 짐승 같아 비천한 느낌이 있다.
명(命) : 재액이 따르고 고독하다.
명(明) : 인덕 없고 구설과 질병이 많다.
미(未) : 고독, 무덕, 부부 운이 약하다.
미(美) : 부모 덕이 없고 사업 실패가 많다.
만(滿) : 처음엔 부유하나 결국 빈곤해진다.
매(梅) : 과부 또는 화류계 여성의 뜻을 가진다.
민(敏) : 성질 급해 불화를 초래한다.
ㅂ
복(福) : 빈천함을 뜻한다.
분(分, 粉, 芬, 紛) : 과부가 되는 흉한 의미가 있다.
부(富) : 배신과 관재구설이 따른다.
봉(鳳) : 가정불화와 외로움을 의미한다.
ㅅ
산(山) : 고지식하고 슬픔이 끊이지 않는다.
선(仙) : 가정불화와 재물복 부족이 따른다.
석(石) : 중도좌절과 천격의 암시가 있다.
사(四) : 단명과 조난의 뜻을 가진다.
사(絲) : 자존심 강하고 인정 없으며 재물복이 박하다.
상(上) : 진실하나 윗사람과 갈등이 생긴다.
상(霜) : 속성속패하며 구설이 따른다.
설(雪) : 속성, 속패의 의미이다.
성(星) : 고독, 배우자복 부족, 단명 암시.
소(笑) : 불의의 재난을 뜻한다.
송(松) : 금전 손실과 실패가 잦다.
수(壽) : 재물복 없고 부부가 생리사별한다.
숙(淑) : 독선적이며 질병이 따른다.
순(順) : 눈물 많고 부부복 박하다.
승(勝) : 작은 어려움에도 쉽게 좌절한다.
신(新) : 허영심 많고 가정불화가 끊이지 않는다.
실(實) : 배우자를 극하는 암시가 있다.
심(心) : 자존심 강하고 인정 없으며 재물복이 약하다.
ㅇ
옥(玉) : 총명함이 있으나 단명의 가능성도 있다.
애(愛) : 일생 불행하고 부부 이별수가 있다.
예(禮) : 배우자 운 나쁘고 질병 고생이 따른다.
완(完) : 맏이가 쓰면 괜찮으나 차자는 형을 극한다.
운(雲) : 형제간 우애 부족과 재물 흩어짐.
은(銀) : 착하나 인덕 부족과 기복 심하다.
월(月) : 고독함을 상징한다.
이(伊) : 고독하고 천한 의미를 갖는다.
인(寅) : 성격이 불손하다.
인(仁) : 융통성 부족과 금전 손실이 많다.
일(日) : 장애와 불치병, 배우자 덕 없음.
일(一) : 관재구설, 이성문제, 형액 암시.
ㅈ
자(子) : 특정 생년(午, 未)과 궁합이 흉하다.
지(地) : 기초가 약하고 재액이 따른다.
장(長) : 동생이 쓰면 형에게 나쁘고 본인도 안 좋다.
정(貞) : 성공이 지속되지 않고 고난 많다.
정(晶) : 구설과 배우자 복 박하다.
죽(竹) : 실패와 좌절, 고독의 뜻이다.
지(枝) : 가정 불화와 고독하다.
진(眞) : 모든 일이 허무하게 돌아간다.
점(點) : 부모덕 없고 부부 불화 따른다.
중(重) : 배우자와 이별, 사고와 질병 암시.
ㅊ
천(天) : 남녀 모두 배우자 복이 박하고 고독하다.
천(千) : 인덕 없고 재물 손실이 발생한다.
천(川) : 변덕 심하며 관재구설 따른다.
철(鐵) : 고독, 가난, 남의 업신여김 암시.
춘(春) : 일시적 성공 뒤 실패한다.
초(初) : 불행 자초한다.
추(秋) : 인덕 부족, 흥망 교차.
충(忠) : 생사극난과 조난, 단명 암시.
초(草) : 허영심 많고 인덕 부족, 배신당함.
출(出) : 고집 세고 허영 많으며 배우자 복 박하다.
취(翠) : 융통성 없고 배신, 부부 생리사별.
칠(七) : 성격 급하고 책임감 부족.
ㅌ
태(泰) : 장자 무방하나 동생이 쓰면 형에게 나쁘다.
ㅍ
평(平) : 역경 많고 건강 잔병치레.
풍(風) : 재산 손실이 따른다.
풍(豊) : 재산 손실 암시.
ㅎ
하(夏) : 노력 대비 성취 적고 파란 많다.
학(鶴) : 유산 탕진, 질병 고생.
해(海) : 인생 파란 곡절 많다.
호(虎) : 단명과 가난 암시.
홍(紅) : 단명의 암시.
효(孝) : 조실부모 가능성.
화(花) : 부부 운 불량.
희(喜) : 비애, 고독, 파재 암시.
희(姬) : 남자의 뒷바라지로 고생과 손해.
행(幸) : 질투 많고 융통성 부족, 구설.
향(香) : 재물복 박하고 배우자 생리사별.
현(玄) : 인정 없고 변덕 심하며 화류계 가능성.
호(好) : 실패가 잦다.
휘(輝) : 성품 강해 실수 많음.
이름에 쓰는 한자 – 이름에 쓰면 좋은 한자
2획
又 (또 우)
3획
才 (재주 재)
丸 (둥글 환)
4획
文 (글월 문)
水 (물 수)
友 (벗 우)
允 (진실로 윤)
5획
加 (더할 가)
可 (옳을 가)
古 (옛 고)
民 (백성 민)
仙 (신선 선)
丞 (정승 승)
永 (길 영)
用 (쓸 용)
右 (오른쪽 우)
田 (밭 전)
主 (주인 주)
台 (별 태)
6획
江 (강 강)
交 (사귈 교)
多 (많을 다)
同 (한가지 동)
吏 (아전 리)
西 (서쪽 서)
先 (먼저 선)
守 (지킬 수)
安 (편안할 안)
宇 (집 우)
迂 (멀 우)
旭 (빛날 욱)
有 (있을 유)
聿 (붓 율)
因 (인할 인)
任 (맡길 임)
在 (있을 재)
旨 (뜻 지)
好 (좋을 호)
7획
均 (고를 균)
利 (이로울 리)
里 (마을 리)
汶 (물이름 문)
床 (평상 상)
序 (차례 서)
成 (이룰 성)
秀 (빼어날 수)
抒 (펼 서)
伸 (펼 신)
我 (나 아)
言 (말씀 언)
延 (끌 연)
玗 (옥돌 우)
佑 (도울 우)
芸 (향풀 운)
沅 (강이름 원)
壯 (장할 장)
廷 (조정 정)
走 (달릴 주)
志 (뜻 지)
辰 (별 진)
兌 (바꿀 태)
汰 (씻을 태)
何 (어찌 하)
見 (보일 현)
希 (바랄 희)
8획
佳 (아름다울 가)
岡 (메 강)
杰 (호걸 걸)
坤 (땅 곤)
官 (벼슬 관)
券 (책 권)
佶 (건장할 길)
奈 (어찌 나)
岱 (대산 대)
垈 (터 대)
東 (동녁 동)
枓 (두공 두)
來 (올 래)
林 (수풀 림)
旼 (화할 민)
玟 (옥돌 민)
受 (받을 수)
承 (이을 승)
侍 (모실 시)
亞 (버금 아)
阿 (언덕 아)
岸 (언덕 안)
岩 (바위 암)
泳 (헤엄칠 영)
英 (꽃부리 영)
侑 (권할 유)
玧 (구슬 윤)
怡 (기쁠 이)
政 (정사 정)
制 (지을 제)
注 (물댈 주)
周 (두루 주)
邰 (나라이름 태)
河 (물 하)
弦 (활시위 현)
泫 (빛날 현)
昊 (하늘 호)
和 (화할 화)
9획
架 (시렁 가)
姜 (성 강)
建 (세울 건)
冠 (갓 관)
奎 (별 규)
度 (법도 도)
洞 (마을 동)
珉 (옥돌 민)
思 (생각 사)
相 (서로 상)
宣 (베풀 선)
昭 (밝을 소)
首 (머리 수)
洙 (강이름 수)
施 (베풀 시)
是 (바를 시)
信 (믿을 신)
彦 (선비 언)
姸 (예쁠 연)
衍 (넘칠 연)
映 (비칠 영)
要 (중요할 요)
禹 (성씨 우)
昱 (빛날 욱)
垣 (담 원)
洹 (강이름 원)
柳 (버들 유)
洧 (강이름 유)
兪 (대답할 유)
垠 (땅끝 은)
哉 (어조사 재)
前 (앞 전)
帝 (임금 제)
貞 (곧을 정)
俊 (준걸 준)
祉 (복 지)
持 (가질 지)
炫 (빛날 현)
玹 (옥돌 현)
奐 (빛날 환)
皇 (임금 황)
洪 (큰물 홍)
侯 (제후 후)
수리오행이란?
작명에 있어서 수리오행은 매우 중요합니다. 수리오행(數理五行)은 한자의 획수를 기준으로 오행(五行: 木·火·土·金·水)을 배치하여, 이름의 조화를 분석하는 작명 방식입니다. 이 이론은 이름을 구성하는 글자의 획수를 바탕으로 각 글자가 어떤 오행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이름 전체의 오행적 균형과 상생(相生), 상극(相剋) 관계를 분석합니다.
오행 배정 방식
수리오행에서는 글자의 획수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오행을 나눕니다.
(두 자리 수 이상의 경우 마지막 한 자리 숫자를 기준으로 삼습니다.)
1, 2획 → 목(木)
3, 4획 → 화(火)
5, 6획 → 토(土)
7, 8획 → 금(金)
9, 0획 → 수(水)
예를 들어, 13획의 글자는 끝자리가 3이므로 화(火)에 해당합니다.
수리오행의 활용
작명에서는 이름의 각 글자를 조합한 획수로 네 가지 주요 격(格)을 산출하며, 이 격들의 오행을 통해 이름의 조화를 평가합니다.
원격(元格) – 이름 두 글자의 획수를 합한 수
형격(亨格) – 성과 이름 첫 글자의 합
이격(利格) – 성과 이름 두 번째 글자의 합
정격(貞格) – 성과 이름 전체 획수를 합한 수
각 격은 개인의 생애 시기별 운세와 관련지어 해석됩니다.
원격: 유년기 운
형격: 청소년기 및 사회 진출기 운
이격: 성인기 및 애정운
정격: 인생 전체의 운세
이 네 가지 격의 획수를 오행으로 변환하고, 이들 사이의 상생 여부를 따져 이름이 조화를 이루는지를 판단합니다.
활용 시 유의사항
작명에서 수리오행은 이름의 조화와 의미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전통적인 작명법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오행의 상생 구조를 이루는 조합은 길하고, 상극 구조는 조심스럽게 접근하게 됩니다. 이름의 뜻, 음운, 사주와의 궁합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될 때 더욱 의미 있는 분석이 이루어집니다.
자원오행
자원오행은 한자의 뿌리인 부수(部首)와 그 글자가 지닌 본래의 상징적 의미를 바탕으로 오행(五行)을 분류하는 체계입니다. 이는 단순히 획수나 소리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한자의 구성 원리와 내포된 뜻을 깊이 있게 해석하여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한자의 형태와 뜻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로 구분합니다. 예컨대, ‘산(山)’은 흙(土)의 속성을, ‘화(火)’나 ‘염(焰)’은 불(火)의 성질을 가진 글자로 판단합니다. 한자 하나하나가 가진 원초적인 에너지와 연결되는 것이 자원오행입니다.
작명에 있어서 자원오행은 단순한 미적 요소가 아니라, 사주(四柱)의 결핍된 기운을 보완해주는 보완재 역할을 합니다. 이름 속 한자에 담긴 기운이 사람의 운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주의 불균형을 자원오행으로 보완하면 보다 조화롭고 순환적인 운세 흐름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자원오행은 의미 중심이며, 발음오행은 소리 중심입니다. 발음오행은 한글 자음(예: ㄱ은 木, ㅅ은 金 등)에서 오행을 분류하지만, 이는 음운학적 작명에 활용될 뿐, 사주의 기운과 직접 연결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사주에 물(水)이 부족한 경우, 자음이 수(水)에 해당한다고 해서 충분히 보완된 것이 아니며, ‘해(海)’, ‘강(江)’과 같이 본질적으로 수의 기운을 담은 한자를 써야 진정한 보완이 됩니다.
자원오행 적용 시 주의사항
자원오행은 개인의 사주에 따라 결정되며, 성씨나 단순한 오행 상생관계로 결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성이 ‘이(李, 木)’씨라고 해서 목(木)을 보완하는 화(火)를 쓰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사주의 부족한 기운을 기준으로 결정해야 합니다.
자원오행 간의 상생상극 논리를 이름에 적용하려는 경우가 있으나, 자원오행은 철저히 ‘보완’ 목적입니다. 즉, 목이 부족하면 목으로 채워야지, 목이 생하는 화를 채운다고 보완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발음오행으로 이름을 지은 후, 나중에 자원오행의 중요성을 알고 개명을 다시 신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처음부터 자원오행의 개념을 명확히 알고 작명을 진행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삼원오행
삼원오행은 성명학에서 이름을 구성하는 글자의 획수에 따라 오행(五行)을 배정하고, 이를 통해 이름의 조화를 판단하려는 방식이다. 이 이론은 이름을 구성하는 각각의 글자가 하늘(天), 사람(人), 땅(地)에 대응한다고 보고, 이 세 요소가 상생관계에 놓이도록 설계하는 것을 이상적으로 본다.
이 체계에서는 한자의 획수를 기준으로 오행을 정하는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획수가 1 또는 2: 목(木)
3 또는 4: 화(火)
5 또는 6: 토(土)
7 또는 8: 금(金)
9 또는 10: 수(水)
만약 획수가 11 이상이면, 10을 뺀 나머지 수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13획은 3획으로 간주되어 화(火)의 속성으로 본다.
삼원오행은 이름을 구성할 때 성과 이름의 조합을 세 부분으로 나눈다. 성을 기준으로 계산한 수를 ‘천격’, 성과 이름의 첫 글자를 더한 값을 ‘인격’, 이름의 두 글자를 합한 것을 ‘지격’이라 하여 각각 오행을 부여하고, 이 세 가지 요소가 서로 충돌하지 않고 순환되며 조화를 이루는지를 따진다.
이러한 방식은 일본에서 유입된 성명학의 한 분파로 알려져 있으며, 일견 논리적인 체계를 갖춘 듯 보인다. 그러나 실제 이름 작명에 있어 그 효과와 적중률은 여러 실증적 사례에서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특히 획수만으로 오행을 판단하는 방식은 한자의 복잡성과 다양한 의미, 음운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한적이다.
오늘날 이름학에서는 단순한 수치적 분류보다는, 음운학적 조화, 의미적 상징성, 실제 사용 시 발음의 유려함 등을 더욱 중시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삼원오행은 과거에 이름 짓기의 참고 요소 중 하나로 활용되었을 수는 있으나, 현대적인 작명에서는 더 이상 주된 기준으로 삼기 어렵다.
삼원오행은 전통적인 작명 체계 중 하나일 뿐,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으며, 현재의 이름 작명에서는 충분한 임상 검토와 타당성 평가가 요구되는 대상이다.
발음오행 (소리오행)
발음오행은 한글 자음이 지닌 음성적 특성을 자연의 다섯 원소인 목, 화, 토, 금, 수와 연결하여 해석하는 독특한 체계입니다. 이 체계는 단순히 이름의 음절을 분류하는 차원을 넘어, 소리의 진동과 파동이 사람에게 미치는 에너지적 영향을 탐구합니다.
기존 발음오행 이론이 주로 이름에 사용되는 자음의 상생과 상극에 집중하여 운명과 길흉을 판단하는 데 방점을 두었다면, 발음오행을 보다 확장된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이름의 음향학적 특성뿐 아니라, 발음의 조화와 소리의 리듬이 인간의 심리적 안정감과 사회적 이미지 형성에도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특히, 발음오행은 이름뿐 아니라 일상 대화, 발표, 노래 등 다양한 음성 표현에서 긍정적인 에너지를 극대화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오행의 음을 강조하거나 조화롭게 배치함으로써, 듣는 이에게 편안함을 주거나 신뢰감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음오행이 작명에만 국한되는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자음의 오행 구분을 유연하게 해석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고정된 오행 규칙 대신, 개인의 생년월일과 성격, 환경 등 다각적인 요소를 함께 고려하여 맞춤형 음향 조합을 설계하는 것이 현대적 활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발음음양
한국어 모음은 발음할 때 음의 성질에 따라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는 음양(陰陽)의 개념과 연결되어, 이름을 지을 때 균형을 맞추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 구분
양성 모음(陽性母音)
밝고, 따뜻하며, 활기찬 느낌을 주는 모음입니다.
대표 모음: ㅏ, ㅑ, ㅗ, ㅛ, ㅐ, ㅒ, ㅘ, ㅙ, ㅚ
음성 모음(陰性母音)
차분하고, 부드러우며, 차가운 느낌을 주는 모음입니다.
대표 모음: ㅓ, ㅕ, ㅜ, ㅠ, ㅔ, ㅖ, ㅝ, ㅞ, ㅟ, ㅡ, ㅣ, ㅢ
작명에서의 활용
이름을 지을 때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이 모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이름이 가진 음의 조화와 균형을 맞춰, 좋은 기운과 조화를 불러온다고 여겨집니다. 예를 들어, 이름에 양성 모음만 있거나 음성 모음만 있을 경우 불균형한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